직장인보고서
독일 전기·가스 요금 인상, 어떤 경우 합법일까? - 숨겨진 인상 통보부터 부당 약관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규정
BY gupp2025-11-20 11:49:15
독일에서는 에너지 비용이 지속적으로 변동하면서 많은 가정이 전기·가스 요금 인상 통보를 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인상이 항상 명확하게 공지되지 않거나 소비자가 알아채기 어렵게 숨겨진 형태로 전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모든 가격 인상이 법적으로 허용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는 다양한 권리와 대응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요금 인상 통보를 받았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과 주의해야 할 함정을 정리했습니다.
요금 인상 통보를 받았다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
독일 소비자센터(vzbv)의 발표에 따르면, 가격 인상 관련 편지나 이메일은 반드시 꼼꼼히 읽어야 합니다. 심지어 계약을 막 체결한 직후에도 가격이 인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상폭은 30% 전후이며, 에너지 위기였던 2022년에는 가스 요금이 훨씬 더 급등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요금 인상을 발견했다면 다음 세 가지를 우선 확인해야 합니다.
1. 인상 자체가 합법인지 확인
2. 인상 통보가 유효하게 전달됐는지 확인
3. 공급업체 변경 시 절감 가능성 검토
통지를 받지 못했음에도 가격이 인상됐다면 소비자센터의 서식을 이용하여 공급업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요금이 인상되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1. 특별해지권(Sonderkündigungsrecht) 행사: 요금이 변경되면 소비자는 일반적으로 특별해지권(Sonderkündigungsrecht)을 갖습니다. 소비자센터의 샘플 서한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해지 시 보너스 지급 조건(예: 최소 1년 약정)이 사라질 수 있으므로 약관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2. 기존 공급자와 요금 협상을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 신규고객 요금이 더 저렴한 경우가 많아 이를 근거로 가격 조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언제 요금 인상이 합법인가요?
전기·가스요금은 여러 요소로 구성됩니다. 도매가뿐 아니라 기업의 운영비용, 전력망 이용료(Netzentgelte), 각종 세금·부담금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 인상은 원칙적으로 허용됩니다.
가격 인상은 어떻게 통보되어야 하나요?
통보 방식은 계약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업체는 가격 인상의 사유, 범위, 조정 항목을 명확히 설명해야 하며, 모호한 표현(예: “운영상 이유”, “도매가 상승”)만으로는 불충분합니다. 또한 인상 전·후 가격을 비교해 제시해야 하며, 통지에 특별해지권 안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인상 통보를 못 받았다면?
공급업체가 요금 인상을 속이는 수법
일부 업체는 인상을 소비자가 알아채지 못하도록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숨깁니다.
이러한 방식은 이미 소비자센터가 일부 업체를 상대로 경고 조치를 취한 사례가 있습니다.
기존 전기 계약보다 30% 저렴한 전기/가스 사용 요령
만약 독일에서 개인 사업자(프리랜서 포함) 혹은 GmbH를 운영 중이라면, 사업장(홈오피스 포함)의 전기/가스 요금을 기존 가격 대비 30% 저렴하게 신규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독일의 전기/가스 마켓에서 대형 공급업체 없이 전기/가스를 직접 구매하므로 중간 비용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매 3년 마다 비용 보장이 되므로 비용 인상 걱정과 계약 변경에 대한 우려없이 계약 유지가 가능합니다. (문의: lee@partner.ueberzeugend-anders.d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