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독일 인구 5명 중 1명 빈곤 위험, 빈곤층으로 분류되는 기준은? - 독일 빈곤 정의와 실태
BY gupp2025-11-18 11:10:41
독일은 경제적으로 부유한 국가로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빈곤의 위협 아래에 놓여 있습니다. 빈곤은 단순히 물질적 결핍에 그치지 않고 교육, 고용, 사회참여 기회의 박탈로 이어져 세대 간 불평등을 고착화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독일에서 빈곤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어떤 조건에서 빈곤층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독일에서 빈곤의 기준
독일과 EU는 빈곤을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으로 구분합니다.
또한, 독일에서는 중위소득(모든 가구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앙값)의 60% 미만의 소득을 가진 경우를 빈곤 위험군으로 간주합니다. 독일 연방통계청과 EU-SILC 조사에 따르면, 2024년 독일 인구의 15.5%인 약 1,310만 명이 빈곤 위험군에 속합니다. 소득으로 보면 2024년 기준 1인 가구는 중위소득 월 세후 1,378유로 미만일 때, 14세 미만 자녀 2명을 둔 4인 가구는 월 2,893유로 미만일 때 빈곤 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2024년 독일 빈곤 현황
전체 인구 중 20.9%인 약 1,700만 명은 넓은 의미에서 빈곤 상태로 분류됩니다.
특히 한부모 가정의 26.2%, 1인 가구의 30,5%가 빈곤 위험군에 속하며, 반대로 자녀 2명을 둔 부부(11.3%)와 무자녀 부부(11.4%)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곤율을 보였습니다.
빈곤의 주요 원인
한부모 가정, 독거노인, 저임금 노동자, 이민자 가구, 그리고 자녀가 셋 이상이면서 부모의 학력 수준이 낮은 가정은 빈곤 위험이 높습니다. 독일 가톨릭 자선 단체에 따르면, 독일 내 빈곤 원인은 구조적·사회적 요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빈곤의 장기화
빈곤의 악순환은 쉽게 벗어나기 어렵습니다. 독일 연방통계청, 베를린 사회과학연구센터, 연방 인구연구소의 공동 조사에 따르면, 2018년 빈곤 위험선 이하에 있었던 사람 중 88%가 이전 4년간 이미 한 번 이상 빈곤 위험에 처한 적이 있었으며, 44%는 저소득층에 속해 있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