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독일 밀레니얼의 58%가 1년 내 퇴사, 잦은 이직은 기회일까, 리스크일까?
BY gupp2025-10-29 12:08:07
32230

요즘 같은 시대에 한 직장에서 정년까지 일하는 경력은 드물어지고 있습니다. 몇 년마다 회사를 옮기는 이른바 잡호핑(Job-Hopping), 즉, 짧은 기간 안에 여러 번 이직하는 형태가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커리어를 빠르게 성장시키는 발판이 되고,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신뢰를 잃는 위험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잦은 이직을 택할까요? 직장 리뷰 및 기업 평점 플랫폼kununu가 잡호핑의 장단점과 현명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LightField Studios / shutterstock

 

 

 

잡호핑이 무엇인가요?

 

잡호핑은 자신의 능력 개발과 급여 인상을 이유로 짧은 기간(2~3년 단위)에 여러 차례 직장을 바꾸는 것을 뜻합니다. 정확한 기준은 없지만, 인사담당자들이 회사 내부 기준이나 개별 판단으로 ‚잡호핑족’을 분류하고, 그에 대한 평가도 기업마다 다릅니다.

 

 

잡호핑은 더 이상 예외가 아닙니다

 

기업은 여전히 오래 근무할 직원을 선호합니다. 그럼에도 현실은 달라지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근로자의 42.8%가 10년 이상 한 회사에 재직했습니다. 그럼에도 2012년(48.3%)과 비교하면 장기근속 비중은 줄었습니다. 반면 XING이 의뢰한 조사에 따르면 독일인 응답자 2명 중 1명이 수습 기간 또는 입사 1년 내 퇴사했고,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에서 1990년대 후반 출생)는 58%가 1년 내 회사를 떠났습니다.

 

 

왜 자주 옮길까요?

 

이사나 가족 문제 같은 외부 요인도 있지만, 대부분은 직무나 환경에 대한 불만 때문입니다. 이직의 대표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급여 불만 및 성장 정체
  • 맞지 않는 조직문화나 리더십
  • 과도한 업무량 또는 지루한 반복 업무
  • 열악한 근무환경, 낮은 인정·피드백
  • 직업 선택 자체에 대한 회의

 

여기에 일부 인사담당자가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에게 근무조건을 실제보다 좋게 말하는 경우도 있어 입사 후 기대와 현실 사이의 괴리가 커질 수도 있습니다.

 

 

 

이직하면 연봉이 오를까요?

 

경엉 컨설팅 회사 맥킨지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직 시 평균 약 30% 연봉 상승이 가능하며, 최대 46%까지 오른 사례도 있습니다. 다만 이는 이전보다 역할이나 책임이 커지고, 전문성이 높아질 때만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짧은 기간마다 옮기면 이런 기회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잡호핑의 장단점

 

긍정적 결과

 

  • 불만족스러운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더 나은 문화나 근무 조건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연봉 인상 기회가 많습니다. 새로운 제안을 받을 때마다 연봉을 협상할 여지가 커집니다.
  •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여러 산업과 역할을 경험하며 시야가 넓어집니다.
  • 인맥이 넓어집니다. 새로운 동료와 네트워크가 생깁니다.

 

부정적 결과

 

  • 이력서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면접 시 직장에서 오래 머물고 싶다는 점을 설득할 만한 좋은 근거가 필요합니다.
  • 전문성이 얕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단기간 근무로는 깊은 경험을 쌓기 어렵습니다.
  • 끊임없는 적응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지는 과정이 반복되면 피로감이 커집니다.
  • 채용 과정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인사담당자가 장기근속을 중시한다면 기회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이직이 잦을 때, 이렇게 설명하세요.

 

1. 솔직하게 인정하기

 

담대하고 솔직하게 잦은 이직을 인정하고 이를 통해 배운 점 또는 지향점 등을 명확히 말합니다. 자신감 있고 개방적인 기업 문화에 적합한 접근입니다.

 

2. 간결하게 정리하기

 

이직의 핵심 사유 1~2개만 근거로 제시하고, 이제 장기적으로 정착할 역할을 구체화합니다. 신중한 태도를 보여주며, 보수적인 조직에도 무난하게 통합니다.

 

3. 꼭 필요하지 않다면 줄이기

 

너무 짧은 근무나 계약직 등은 간략히 묶거나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면접에서 질문이 나올 수 있으니, 짧고 일관된 답변을 준비해 두세요.

 

 

 

잡호핑이 잦다면, 이런 점을 먼저 돌아보세요

 

  • 지금 회사를 옮기려는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요?
  • 다음 직장에서 얻고 싶은 기회나 변화는 무엇인가요?
  • 내가 만족감을 느끼는 일의 조건은 무엇인가요?

 

 

참고로 통계 데이터 플랫폼 Statista의 발표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2022년 기준 360만 명 이상이 자영업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고용 형태가 유일한 정답은 아닙니다.

 

 

 

 

  • 작성: Yun
  • ⓒ 구텐탁피플(https://gutentagpeopl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구피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