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살려면 한 달에 얼마 필요할까? 도시별 물가 비교와 월세·식비·교통비까지 한눈에
BY gupp2025-10-29 11:54:48
독일에서 산다면 한 달에 실제로 얼마가 필요할까요? 독일의 생활비는 유럽 대도시권과 비교하면 합리적 수준이지만, 어떤 도시에 살고, 어디에 집을 구하느냐에 따라 월세부터 공과금, 교통비·식비까지 체감 비용이 크게 달라집니다. 독일 유학 정보 제공 포털 Studying-in-Germany.org가 2025년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독일의 도시별 임대료, 여러 다양한 항목들의 생활비를 정리했습니다.

ⓒ BalkansCat / shutterstock
최소 생활비
- 최소 생활비(1인 기준): 월 992유로, 연 11,904유로 수준입니다(2024 기준 추정).
- 4인 가족(임대료 제외): 월 3,389유로 정도가 평균입니다.
다만 독일은 16개 주, 약 11,000개 지방자치단체로 구성되어 지역별 편차가 큽니다.
지역·도시별 생활비 비교
- 남부가 가장 비쌉니다: 뮌헨, 슈투트가르트가 대표적입니다. 예를 들어, 슈투트가르트 시내 원룸 평균 1,115유로 vs 브레멘 811유로(브레멘이 약 27% 저렴).
- 베를린: 원룸 평균 1,220유로. 파리·런던·암스테르담·취리히보다 임대료가 낮습니다
- 저렴한 도시: 동독 도시들은 남부 독일 도시들보다 물가가 저렴합니다. 라이프치히 임대료는 슈투트가르트 대비 −35%, 드레스덴은 −34.1% 저렴합니다. 자르브뤼켄(Saarbrücken)은 주요 도시 중 가장 낮은 편이며, 인구 규모가 더 작은 하이델베르크보다 임대료가 −51.4% 낮습니다.
대도시 5곳 생활비 비교(월 기준)
|
항목
|
뮌헨
|
베를린
|
쾰른
|
함부르크
|
프랑크푸르트
|
|
임대료(원룸/도심)
|
1,446유로
|
1,220유로
|
1,027유로
|
1,097유로
|
1,283유로
|
|
임대료(원룸/외곽)
|
1,213유로
|
881유로
|
791유로
|
785유로
|
939유로
|
|
중급 레스토랑 2인
|
80유로
|
70유로
|
65유로
|
80유로
|
80유로
|
|
저가 식사 1인
|
17유로
|
15유로
|
13유로
|
15.4유로
|
18유로
|
|
공과금(85㎡)
|
334유로
|
323유로
|
380유로
|
320유로
|
330유로
|
|
택시 기본 요금
|
5.60유로
|
5.00유로
|
5.00유로
|
5.50유로
|
5.00유로
|
|
헬스장
|
50.25유로
|
34.69유로
|
32.08유로
|
44.10유로
|
52.08유로
|
평균 임대료(원룸/시내, 2025 기준)
|
도시
|
평균 월세
|
|
뮌헨
|
1,436유로
|
|
프랑크푸르트
|
1,283유로
|
|
베를린
|
1,220유로
|
|
슈투트가르트
|
1,115유로
|
|
함부르크
|
1,097유로
|
|
프라이부르크
|
1,033유로
|
|
쾰른
|
1,027유로
|
|
하이델베르크
|
1,023유로
|
|
뒤셀도르프
|
991유로
|
|
하노버
|
906유로
|
|
카를스루에
|
877유로
|
|
본
|
866유로
|
|
다름슈타드
|
818유로
|
|
에를랑겐
|
818유로
|
|
브레멘
|
811유로
|
|
트리어
|
780유로
|
|
드레스덴
|
766유로
|
|
만하임
|
741유로
|
|
라이프치히
|
721유로
|
|
도르트문트
|
690유로
|
|
아헨
|
659유로
|
|
에센
|
634유로
|
|
자르브뤼켄
|
486유로
|
외곽 거주 시 원룸 임대료는 대략 430~1,218유로로 낮아집니다.
주거 부대 비용(Nebenkosten) 및 기타 가계 비용
- 공과금(전기·난방·수도·쓰레기 수거 비용 등): 85㎡ 기준 월평균 303.85유로(사용량에 따라 200~493유로).
- 휴대폰 요금(음성+데이터 10GB+): 평균 25.67유로(요금제와 통신사에 따라 10~39.95유로).
- 인터넷(60Mbps+, 무제한): 평균 45.24유로(요금제와 통신사에 따라 상이).
부대비용이 월세에 포함되면 Warmmiete로 표기됩니다.
외식·식료품
- 외식: 중급 레스토랑 2인 65유로 내외. 저렴한 식사(되너 등) 1인 15유로 정도.
- 음료: 생맥주 0.5L 4.30유로, 카푸치노 3.43유로, 생수 0.33L 2.51유로, 탄산음료 2.81유로.
- 장보기(예시 평균): 우유 1L 1.10유로, 달걀 12개 3.22유로, 닭 1kg 12.76유로, 토마토 1kg 4.34유로, 감자 1kg 1.41유로 등.
외식 비중을 줄이고 집에서 요리한다면 체감 물가를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교통비
- 자전거: 개인 구매/대여, DB Call a Bike 월 5.90유로 옵션 등.
- 대중교통: 편도 단일권 약 3유로. 독일티켓(Deutschlandticket) 2025년 기준 월 58유로.
- 택시: 기본요금 약 4.50유로, km당 1.80~3유로.
- 자가용: 휘발유 평균 1.75유로/L(보험료도 예산에 반영해야 합니다).
건강보험료
독일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은 건강 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공보험 (Gesetzliche Krankenversicherung, GKV)과 사보험(Private Krankenversicherung, PKV)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공보험은 일반적으로 사보험보다 더 안정적이고, 포괄적이며 저렴합니다. 사보험은 추가 혜택을 제공하지만 더 비싸고 일정 소득 기준 이상인 사람들에게만 제공됩니다.
- 공보험(법정건강보험): 총부담률 = 총급여의 14.6% + 추가부담률(평균 2.5%, 보험사별 상이) + 요양보험(Pflegeversicherung) 2.6~4.2% 고용주와 50:50으로 분담, 단 요양보험은 고용주 1.8% 고정, 나머지는 근로자 부담.
- 사보험(민간건강보험): 연 소득 73,800유로 이상(2025 기준) 또는 자영업자·공무원에게만 적용. 연령·건강·보장범위에 따라 개별 산정.
- 학생: 30세 미만 공보험 학생요율 월 약 140유로(건강+요양 보험료 포함).
대학 등록금
독일 공립 대학의 대부분의 학사 및 석사 학위 프로그램은 국내 학생과 국제 학생 모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등록금 대신 학생들은 학기당 100~400유로 사이의 사회기여금(Sozialbeitrag)을 납부하며, 이 비용은 대학의 행정 비용, 학생회 활동, 학생들의 대중교통 이용권을 포함합니다. 다만 연방주와 대학에 따라 예외는 있습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 비EU 학생 학기당 1,500유로 납부
- 바이에른: 제3국 출신 외국인 학생 등록금 부과
- 사립 대학 또는 공립 대학 일부 전문 석사 과정: 기관과 과정에 따라 연간 3,000~20,000유로 등록금 부과
사례별 월 예산
- 베를린 직장인(세후 2,800유로): 임대료 1,220유로, 공과금 240유로, 교통비 49유로(한달권), 식비 250유로 등 → 지출 2,164유로, 저축 636유로.
- 아헨 22세 학생(BAföG 800유로 재정 지원): 임대료 380유로, 식비 230유로 등 → 지출 800유로, 저축 없음.
- 슈투트가르트 외곽 사는 부부(세후 합계 7,500유로): 생활비(자녀 임대료 지원, 보험료, 여가 생활 등) 약 2,923유로, 여행·리모델링 저축 각 500유로, 일반 저축 3,577유로.
독일 vs 미국 생활비 비교
|
항목
|
독일
|
미국
|
차이(%)
|
|
월 생활비(1인, 임대료 제외)
|
$1,032
|
$1,163
|
−11.2% (독일 낮음)
|
|
원룸 임대료(도심)
|
$892
|
$1,694
|
−47.3% (독일 낮음)
|
|
기본 공과금
|
$316.55
|
$207.00
|
+52.9% (독일 높음)
|
|
대중교통 1회권
|
$3.21
|
$2.50
|
+28.4% (독일 높음)
|
|
중급 레스토랑 2인
|
$67.39
|
$75.00
|
−10.1% (독일 낮음)
|
|
생맥주 0.5L
|
$4.46
|
$6.00
|
−25.7% (독일 낮음)
|
|
카푸치노
|
$3.56
|
$5.19
|
−31.4% (독일 낮음)
|
|
생수 1.5L(소매)
|
$0.86
|
$2.21
|
−61.0% (독일 낮음)
|
|
헬스장 월 구독권
|
$36.18
|
$46.75
|
−22.6% (독일 낮음)
|
베를린 vs 뉴욕 생활비 비교
|
항목
|
Berlin
|
New York
|
차이(%)
|
|
월 생활비(1인, 임대료 제외)
|
$1,038
|
$1,692
|
−38.0% (베를린 낮음)
|
|
원룸 렌트(도심)
|
$1,265
|
$4,034
|
−68.6% (베를린 낮음)
|
|
기본 공과금
|
$334.41
|
$181.78
|
+83.8% (베를린 높음)
|
|
대중교통 1회권
|
$3.63
|
$2.90
|
+25.1% (베를린 높음)
|
|
중급 레스토랑 2인
|
$72.57
|
$130.00
|
−44.2% (베를린 낮음)
|
|
생맥주 0.5L
|
$4.51
|
$9.00
|
−49.9% (베를린 낮음)
|
|
카푸치노
|
$3.80
|
$5.88
|
−35.4% (베를린 낮음)
|
|
생수 1.5L(소매)
|
$0.85
|
$2.48
|
−65.7% (베를린 낮음)
|
|
헬스장 월 구독권
|
$35.97
|
$146.29
|
−75.4% (베를린 낮음)
|
- 작성: Yun
- ⓒ 구텐탁피플(https://gutentagpeopl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