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숫자로 보는 독일 – 연방통계청 지표로 보는 독일 경제·사회 현주소
BY gupp2025-10-22 10:33:44
31250

최근 독일 연방통계청이 공개한 각종 통계는 독일 사회·경제의 현재를 숫자로 또렷하게 보여줍니다. 노후 소득부터 물가, 주택, 에너지 빈곤, 사망원인, 파산 동향까지, 독일의 핵심 지표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T.Vyc / shutterstock

 

 

 

1.고령층 소득 격차와 기초 생활 보장 수요 증가

 

 

독일의 65세 이상 은퇴자 5명 중 1명(20%)은 월 균등화 가처분소득(Nettoäquivalenzeinkommen, 1인당으로 계산한 가처분소득)이 최대 1,400유로에 불과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의 중위 소득은 월 1,990유로로, 전체 인구(2,300유로)보다 낮습니다. 특히, 여성의 연금 소득(1,720유로)은 남성(2,320유로)보다 현저히 낮아 유족 연금을 제외한 성별 연금 격차는 36.9%에 달합니다. 이러한 격차와 낮은 소득으로 인해 2024년 말 기준, 약 73만 9천 명에 달하는 고령층 인구가 국가의 기초 생활 보장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는 1년 전보다 7.1%, 2020년 말보다 31.0% 증가한 수치입니다.

 

 

 

2.인플레이션 완화 신호, 생산자 물가 하락세 지속

 

2025년 9월 독일의 생산자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7% 하락하며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주로 에너지 가격이 전년 대비 7.3% 하락했기 때문이며, 특히 천연가스(-10.7%)와 전기(-10.2%) 가격이 크게 내렸습니다. 에너지를 제외한 생산자 물가는 0.9% 상승에 그쳐 8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하지만 투자재(1.9%) 와 소비재(3.2%) 가격은 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특히 쇠고기(+34.8%)와 커피(+27.6%)와 같은 일부 식품 가격이 크게 올랐습니다.

 

 

 

3.주택 건설 회복 조짐: 건축 허가 증가

 

어려움을 겪던 독일 건설 부문에서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5년 8월, 총 19,300건의 주택 건설이 승인되었는데, 이는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2025년 1월부터 8월까지의 누적 통계에서는 단독 주택 건축 허가가 전년 동기 대비 15.5% 증가하며 가장 강력한 상승세를 보였고, 다가구 주택 허가도 4.9% 증가했습니다. 개조·증축 공사도 2024년 같은 기간보다 5.2%로 늘었습니다.

 

 

 

4.난방 취약 계층 감소및 에너지 가격 변동성

 

난방 비용 부담 문제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습니다. 2024년 기준, 독일 인구의 6.3%에 해당하는 530만 명이 재정적인 이유로 자신의 집을 충분히 따뜻하게 유지할 수 없다고 답했는데, 이는 2023년의 8.2%에 비해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가정용 에너지 가격이 2025년 9월에 전년 동월 대비 1.9% 하락하는 등 안정화된 덕분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경유(+99.3%)와 천연가스(+89.9%) 가격은 급격히 상승한 상태이며,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5.주요 사망 원인과 치매 사망률 증가

 

2024년 독일에서는 총 101만 명이 사망하며 사망자 수가 2년 연속 감소했지만, 사망 원인의 변화가 주목됩니다.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순환기계 질환(339,212명)과 악성 신생물(암, 230,392명)로 전체 사망자의 56.5%를 차지했습니다. 특히 치매로 인한 사망자는 61,927명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으며, 지난 10년 평균보다도 23.2% 증가했습니다. 치매는 특히 여성의 주요 사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80세 이상 남성의 경우 치매 사망률이 지난 10년 평균 대비 32.9% 급증했습니다.

 

 

 

6.기업 및 개인 파산 증가세

 

2025년 9월 독일의 파산 신청 건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4% 증가하는 등 기업 파산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특히 7월에는 기업 파산이 전년 대비 13.4% 증가했으며, 이로 인한 채권자의 총청구액은 약 37억 유로로 집계되었습니다. 업종별로는 운수 및 창고업이 기업 1만 개당 12.7건으로 가장 높은 파산 빈도를 보였습니다. 또한, 개인의 재정적 어려움도 증가하여 소비자 파산 신청 건수도 2025년 7월에 전년 동월 대비 12.9% 증가했습니다.

 

 

 

 

  • 작성: Yun
  • ⓒ 구텐탁피플(https://gutentagpeopl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구피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