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금값 사상 최고치 돌파, 트로이온스당 4,000달러 넘었다, 상승 배경과 전망은?
BY gupp2025-10-13 09:03:41
61260

금값 상승세가 최근 몇 달간 이어지다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1트로이온스(약 31.1g)당 4,0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의 인기가 치솟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급등의 배경은 무엇이며, 앞으로도 상승세가 이어질까요?

 

 


ⓒ surprisestock / shutterstock

 

 

 

정치적 위기와 불확실성이 불러온 안전자산 열풍

 

현재 금값은 2024년 말 이후 이미 약 53% 상승하며 1979년 이후 최대폭의 연간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비트코인조차 이 상승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의 핵심 요인으로 정치적 불안과 미국의 막대한 국가 부채를 지목합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중지) 사태와 갈수록 심화되는 재정 적자 등이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우고 있는 것입니다. 2000년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은 57% 수준이었지만, 25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 정책과 감세 기조가 유지된다면 재정 악화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

 

1. 지정학적 리스크 및 불확실성 증가

 

전쟁, 국제 갈등, 무역 긴장 등이 생기면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5년에도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 중동 긴장 등이 금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는 보도가 많습니다.

 

2 중앙은행의 금 매수 확대

 

여러 국가의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고 다변화와 달러 의존성 축소를 위해 금 보유를 늘리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금을 꾸준히 사들이고 있고, 터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방어 수단으로 금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금을 시장에서 사들이면 공급 압박이 커지고, 가격 상승을 유도하게 됩니다.

 

3. 미국 달러 약세

 

금은 주로 미국 달러로 거래되는데, 달러 가치가 약해지면 다른 통화 사용자에게 금이 더 저렴해져 수요가 늘고 가격이 오르기 쉽습니다.

 

4. 인플레이션과 실질 금리 하락 기대

 

물가 상승 우려가 클 때, 실질 금리(명목 금리 – 인플레이션)를 보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이 주목받습니다. 미국 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도 금값 상승에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금은 이자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질수록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투자자산이 됩니다.

 

5. 투자심리 변화 — 안전자산 선호 증가

 

주식시장 불안, 경기 둔화 전망 등으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 안전자산으로 금이 선택받습니다. ETF, 금 펀드, 실물 금 등으로 자금이 몰리는 추세도 있습니다.

 

6. 공급 제약 요인

 

금 채굴 비용 상승, 지리적·환경적 제약, 광산 운영 리스크 등이 공급 측면에서도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공급 측 제약이 수요 증가와 맞물릴 때 가격 상승이 촉진됩니다. 

 

7. 시장 예측과 기대 상승

 

주요 투자은행이나 분석 기관들이 금 가격 전망을 상향 조정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가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가치 보존이 중요한 역할

 

IG 분석가 살라-에딘 부흐미디(Salah-Eddine Bouhmidi)는 „현재 금값은 지정학적 긴장, 미국 내 정치 불안, 그리고 기술적 상승 흐름이 맞물린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투자자들이 국채나 주식 대신 금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에 대해 CMC마켓의 요헨 슈탄츨(Jochen Stanzl)은 „불확실한 시기에 금은 신뢰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강조합니다.

 

 

 

“지금 안 사면 늦는다는 불안심리도 작용

 

apoBank의 분석가 사라 샬뤼크(Sarah Schalück)는 “미국의 급격한 부채 증가,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지정학적 갈등 고조 등 여러 요인이 금값을 당분간 지탱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지금 안 사면 늦는다는 심리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골드만삭스와 UBS 같은 주요 투자은행들은 이미 금값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ActivTrades의 리카르도 에반젤리스타(Ricardo Evangelist)는 “단기적으로는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일시적인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상승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 작성: Yun
  • ⓒ 구텐탁피플(https://gutentagpeopl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구피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