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독일은 워라밸 천국일까? 2025 글로벌 워라밸 지수 - 제도는 탄탄, 현실 체감은 엇갈려
BY gupp2025-08-11 11:49:50
172010

독일에서는 Feierabend라는 표현처럼 퇴근 이후의 여가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업무와 개인 시간을 철저히 구분합니다. 근무 시간 외에 업무 관련 연락에 불쾌하게 여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처럼 일과 삶의 균형, 즉 워라밸을 중시하는 독일이 최근 한 조사에서 가장 워라밸이 좋은 나라 중 하나로 꼽혔습니다. 넉넉한 유급 휴가, 육아휴직 제도, 안정적인 의료 시스템, 높은 최저임금 등이 독일의 높은 순위를 견인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조사에서는 현실과는 다소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 izzuanroslan / shutterstock
 

 

 

 

독일, 전 세계 워라밸 순위 4위

 

글로벌 HR 플랫폼 Remote.com이 발표한 2025 워라밸 지수(Global Life-Work Balance Index 2025)에 따르면, 독일은 전 세계 60개국 중 4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각국의 유급 휴가 및 병가, 출산 및 육아휴가 제도, 최저임금, 의료 체계, 주간 근로 시간, 국가별 행복지수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해 순위를 매겼습니다.

1위는 뉴질랜드가 차지했으며, 아일랜드(2위), 벨기에(3위), 그리고 독일(4위)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노르웨이와 덴마크가 각각 5위와 6위에 올랐고, 상위 10개국 중 뉴질랜드 와 캐나다(7위), 호주(8위)를 제외한 대부분이 유럽 국가였습니다. 참고로 일본과 한국은 29위와 31위로 중위권에, 미국은 59위로 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최하위 국가는 나이지리아였습니다.

 

 

 

강력한 사회복지제도

 

독일의 높은 평가 배경에는 법적으로 보장된 휴가 일수와 의료·육아 관련 복지제도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 독일에서 정규직 근로자는 연간 최소 20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으며, 많은 경우 노조 협약이나 기업 규정에 따라 25일~30일까지도 가능합니다.
  • 병가 또한 관대합니다. 심각한 질병이 있을 경우 최대 6주까지 급여 100%를 받으며 쉴 수 있습니다.
  • 임신한 근로자는 출산 전 6주, 출산 후 8주간의 의무 유급 출산휴가를 보장받으며, 이후 최대 14개월의 육아휴직(Elternzeit)을 통해 자녀 양육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에 일정 비율의 급여를 보전하는 부모수당도 지급됩니다.
  • 이 외에도 독일의 최저임금은 2025년 기준 시간당 12.82유로이며, 2027년까지 14.60유로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이는 상위 10개국 중 호주, 뉴질랜드 다음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현실에서는 다소 온도차도

 

그럼에도 모든 독일 근로자가 워라밸을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2022년 실시된 독일, 영국, 네덜란드, 폴란드 4개국 비교 설문조사에서는 독일 근로자들이 오히려 초과근무를 더 많이 하고, 여가시간은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제도적 기반과 실제 체감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17년 독일 취업 네트웍 Xing의 연구에서는 독일 도시별 워라밸 격차도 확인됐습니다. 카를스루에, 뮌스터, 슈투트가르트, 본, 뮌헨에서는 높은 워라밸을 기록했지만, 베를린과 프랑크푸르트 같은 대도시, 그리고 루르 산업지대의 에센, 뒤스부르크, 겔젠키르헨 등은 낮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작성: Yun
  • ⓒ 구텐탁피플(https://gutentagpeopl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구피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