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검색창 상단에 있지만 공식 사이트 아냐” 독일서 행정 서비스 위장 사이트 피해 속출
BY gupp2025-08-05 11:03:46
202200

온라인에서 공식 문서나 행정 서비스를 찾다 보면 첫 번째로 보이는 링크가 꼭 공식 사이트일 거라 믿게 됩니다. 하지만 최근 독일에서는 검색 결과 상단에 표시된 유사 서비스에 속아 피해를 보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독일 소비자보호협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에만 2,900건이 넘는 관련 민원이 접수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 fizkes / shutterstock
 

 

 

 

공신력 있는 것처럼 위장, 실제보다 더 비싸

 

Tagesschau의 보도에 따르면, 문제는 이러한 웹사이트들이 공식 기관의 서비스를 흉내 내면서 소비자들을 현혹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대체로 우편물 주소 변경 신청, 범죄경력증명서 신청 등 공공기관에서 처리 가능한 업무를 유료로 제공합니다.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돈을 내고도 아무런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실제 피해와 신뢰 저하

 

공공기관을 사칭한 이러한 유사 서비스들은 사실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이거나 훨씬 저렴하게 제공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포털사이트나 검색엔진 광고 상단에 위치하면서, 이용자들은 이를 공신력 있는 서비스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잃고, 전반적인 온라인 환경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불편을 넘어 금전적 피해로 이어져

 

이에 따라 소비자보호단체는 이러한 사기성 서비스 운영자들을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영방송 수신료 서비스 주소 변경을 도와주는 것처럼 보이는 한 사이트는 단순한 연락 양식을 작성해 주는 데 39.99유로의 수수료를 요구합니다. 하지만 동일한 서비스는 실제 공식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보호협회는 해당 사이트의 ‘불투명한 정보 제공’을 문제 삼아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더 심한 경우는 수수료 비용으로 30유로의 비용 청구에 동의하는 버튼 하단에, 추가로 매월 몇 백유로의 월 회원비를 청구한다는 문구가 숨어있을 경우 피해자는 몇 백유로는 고스란히 지불해야 합니다. 이런 피해를 당할 경우 카드사에 상황 설명을 한 후 피해금액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작성: Yun
  • ⓒ 구텐탁피플(https://gutentagpeopl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구피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