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7월 31일 독일 세금 신고 마감, 평균 환급액 1,172유로 – 직장인부터 세입자까지 절세팁 총정리
BY gupp2025-07-16 11:20:53
203000

2024년 소득에 대한 세금 신고 마감일(7월 31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머리 아픈 서류 작업과 복잡한 세법 때문에 많은 이들이 신고를 미루거나 포기하지만, 사실 제대로만 알면 수백, 심지어 수천 유로의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연방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납세자 한 명당 평균 환급액은 무려 1,172유로에 달했습니다. 세금 신고 의무가 없더라도 환급을 기대할 수 있어 이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절세 전략을 독일 세무 앱 Taxfix가 소개합니다.

 

 

 


ⓒ Andrzej Rostek/ shutterstock
 

 

 

 

직장인을 위한 절세 전략

 

  • 기본공제(Gundfreibetrag) 활용하기

2025년 기준 기본공제는 11,784유로입니다. 연 소득이 이보다 낮다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며, 이미 납부한 세금은 전액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니잡 또는 파트타임 근로자, 견습생(Azubi), 학생까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됩니다.

 

  • 업무 관련 소득 공제 자동 적용

모든 근로자는 별도 증빙 없이 자동으로 1,230유로가 공제됩니다. 여기에 인터넷 요금, 전화비용 등을 추가로 기재하면 추가 절세도 가능합니다.

 

  • 재택근무 공제 (Homeoffice-Pauschale)

하루 6유로, 연간 최대 210일(1,260유로)까지 공제됩니다. 재택근무 중 외근 일정이 있다면 이동 거리(km)에 따라 추가 공제도 가능합니다.

 

  • 통근수당(Entfernungspauschale)

춭퇴근 교통비를 업무 관련 비용(Werbungskosten)으로 공제하는 통근 수당(Entfernungspauschale)을 이용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출퇴근 거리의 20km까지는 km당 0.30유로, 그 이상은 0.38유로로 계산됩니다. 모든 교통수단에 적용되며, 도이칠란트 티켓(Deutschlandticket) 사용자도 해당됩니다. 또한, 동료나 이웃과 차량을 함께 타는 경우에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직장까지 거리는 가장 짧은 길이 아니라 가장 빠른 길을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 이 경로가 실제로 시간이 더 절약되고 정기적으로 이용해야 하며, 최소 10% 이상 빠른 경로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분 걸리는 최단 거리 5km 대신 고속도로 경로로 8km를 이용해 시간을 단축하면, 이 긴 거리를 세금 공제 대상으로 삼을 수 있어 환급액이 커집니다.

 

  • 외근 식비 수당(Verpflegungspauschale)

출장과 외근이 잦다면 식비를 공제할 수 있습니다. 외근/출장 출발 도착일은 하루 14유로, 24시간은 28유로가 수당으로 책정됩니다. 해외 출장의 경우 국가별로 더 높은 공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IT기기 즉시 비용 처리

직무와 관련된 노트북, 태블릿 등 업무용 장비(800유로 이하, 부가세 별도)는 바로 경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자발적 세금 신고는 천천히 할수록 이자 수익↑

신고를 늦게 할수록(최대 4년 이내) 환급금에 대한 이자가 추가로 붙기 때문에 더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반대로 세금 미납이 있었다면 이자를 부담해야 합니다.

 

  • 이사 비용 공제(Umzugspauschale)

2024년 3월부터 직장으로 인한 이사 시 증빙 없이 964유로, 동반 가족당 추가로 643유로까지 공제됩니다.

 

  • 직업복 세탁비 공제

의료계, 경찰, 실험실 등에서 착용하는 직업 특수복(Berufskleidung)은 구입 및 세탁 비용을 업무 관련 비용(Werbungskosten)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세탁소 이용 시 영수증을 보관해 제출하고 직접 세탁한다면 자세한 계산 필요합니다. 복잡하다면 정액 110유로까지 공제도 허용됩니다.

 

자녀가 있는 가정, 부부를 위한 혜택

 

  • 자녀세액공제 인상 (Kinderfreibetrag)

2025년 기준 자녀 한 명당 6,612유로까지 공제가 가능합니다. 고소득자일수록 세액공제 혜택이 커집니다.

 

  • 교육공제 확대(Ausbildungsfreibetrag)

자녀가 독립해 거주하며 대학·직업 교육을 받는 경우, 부모는 연간 1,200유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 자녀 양육비, 조건부 공제 가능

일반적으로 자녀 양육비(Kinderunterhalt)는 공제되지 않지만, 다음 조건에 해당될 경우 예외가 적용됩니다.

  • 자녀가 더 이상 아동수당(Kindergeld)을 받지 않으며,
  • 대학, 직업 교육 중(Studium, Ausbildung)이고,
  • 수입이 거의 없을 때

이 경우 연 최대 11,784유로까지 Anlage Unterhalt으로 공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 결혼하면 세금도 줄어든다

결혼 시에는 부부분할과세(Ehegattensplitting)을 통해 세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taxfix의 결혼 세금 혜택 기사를 참고하세요.

 

  • 세금 등급 변경

결혼, 이혼, 자녀 양육 등 생활환경 변화가 있다면 세금 등급을 바꿔 절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taxfix의 세금 등급 변경 기사를 참고하세요.

 

  • 이혼해도 공동 신고 가능

2024년 한 해 동안 별거 상태였더라도, 해당 연도는 공동 세금신고가 여전히 허용됩니다. 이는 수천 유로의 절세 효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2025년에 단 한 달이라도 다시 동거했다면 다음 해에도 공동 신고가 가능합니다.

 

 

 

임대인과 세입자를 위한 절세 팁

 

  • 태양광 설비 세금 면제

30kWp 이하의 태양광 설비 및 발코니용 미니 태양광 패널은 면세 대상입니다. 임차인도 해당됩니다.

 

  • 부대비용 공제

부대 비용으로 나가는 비용 중 일부는 가사 관련 서비스(Haushaltsnahe Dienstleistungen)로 분류돼, 세금 공제가 가능합니다. 청소, 정원 관리, 승강기 정비, 경비 업무 등이 이에 해당하며, 해당 인건비의 20%까지 세금 공제가 가능합니다. 2023년도 명세서로도 세금 신고가 가능합니다.

 

  • 임대인 감가상각 혜택

신축 또는 신규 구입한 임대 주택은 처음 4년 동안 총 20% 특별 감가상각과 연 2% 기본 감가상각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 및 기타 수입 관련 절세 방법

 

  • 금융소득 공제

금융소득 1,000유로까지는 비과세입니다. 하지만 온라인 증권계좌에선 종종 자동 공제가 되지 않아 납세자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암호화폐 수익 신고 필수

1년 이상 보유 후 매도하면 비과세지만, 보유·거래 기록은 반드시 남겨야 합니다. 세금 신고 누락 시 고위험군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플랫폼 수익 공개 의무

eBay, Airbnb 등에서 수익을 얻는다면 반드시 소득을 신고해야 합니다. 각 플랫폼이 매출을 보고하기 때문에, 납세자 활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경, 약값도 세금 공제 가능

보험에서 보장되지 않거나 자비 부담이 발생한 의료비는 특별 비용(außergewöhnliche Belastungen) 항목으로 세금 공제가 가능합니다. 의사의 사전 처방이 있어야 하며, 개인의 소득과 가족 구성에 따라 책정되는 감내 가능한 부담 한도(zumutbare Eigenbelastung)를 초과해야 합니다.

 

  • 물품 기부도 세금 공제

기부는 돈만 해당되는 게 아닙니다. 새 제품이나 중고 물품을 비영리단체에 기부하면 특별 비용(außergewöhnliche Belastungen)으로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세금 신고 시 증빙을 위해 기부 확인서(Zuwendungsbestätigung)를 받아야 하며, 새 제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 영수증도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중고 물품은 시세를 기준으로 가치를 추산해 신고합니다.

 

  • 반려동물 돌봄 비용도 공제 가능

휴가 중에 제삼자에게 집에서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가사 관련 서비스(haushaltsnahe Dienstleistungen)로 세금에서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단, 서비스 제공자가 명확한 청구서를 발행해야 하며, 사료나 용품은 제외됩니다.

 

  • 영수증이 없어도 자체 작성 증빙으로 대체 가능

중요한 영수증을 분실했더라도 직접 작성한 영수증(Eigenbeleg)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내용에는 아래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비용 사용처(이름 및 주소)
  • 지출 항목, 금액, 날짜
  • 영수증 누락 사유
  • 본인 서명

이 방법은 정당한 예외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지출은 타이밍이 중요

업무 관련 비용, 의료비, 수리비 등은 지출 시점을 조정하면 절세 효과가 큽니다.

  • 업무 관련 비용(Werbungskosten): 해당 연도의 비용이 1,230유로 이하이고, 그다음 해는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다음 해로 미루는 것이 유리
  • 의료비: 한 해에 몰아서 지출하면 감내 가능한 부담 한도(zumutbare Belastung) 초과 가능
  • 수리비(Handwerkerleistungen): 연간 1,200유로까지만 공제되므로 리모델링 또는 개보수 작업을 여러 해로 분산하는 것도 전략입니다.

 

  • 전자 세금 신고로 더 간편하게

세무 앱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세금 신고서를 완성하고 ELSTER(국세청 전자 신고 시스템)를 통해 종이 서류 없이 온라인 신고가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재정 상황을 단계별로 조회하고 세무서와 직접 연동되어 더 빠른 처리와 환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과거 세금 신고로 환급 챙기기

법적으로 세금 신고 의무가 없는 사람도 환급받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발적으로 신고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최대 4년 전까지 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2025년 기준, 2021년부터의 세금 신고가 아직 가능합니다. 평균 1,172유로를 환급 받을 수 있으므로 미처 신고하지 않은 해가 있다면 지금이라도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 세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요약

  1. 어떤 비용을 세금에서 공제할 수 있나요?
    • 업무 관련 비용(Werbungskosten): 교통비, 업무 관련 서적, 연수비 등
    • 특별 지출(Sonderausgaben): 기부금, 교회세, 보험료 등
    • 특별 비용(Außergewöhnliche Belastungen): 의료비, 장례비 등
  2. 과세소득 줄이는 방법은?
    • 소득에서 공제항목과 손실 이월분(Verlustvorträge) 등을 뺀 금액이 실제 과세 대상입니다. 따라서 공제액이 많을수록 과세 소득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입에서 공제 가능한 비용을 최대한 활용하세요. 매년 조정되는 기본공제액(Grundfreibetrag)도 반영됩니다.
  3. 직장인이 세금 절약하는 법은?
    • 통근비, 연수비(교육비), 업무상 작업실 비용 등을 업무 관련 비용(Werbungskosten)으로 공제할 수 있습니다.
    • 재택근무 일당 정액 공제(Homeoffice-Pauschale)도 활용하세요.
  4. 가장 효과적인 절세 항목은?
    • 개인 상황애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업무 관련 비용(Werbungskosten)이 절세 효과가 가장 큽니다.
  5. 세금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 종이 서류, 세무 소프트웨어, 앱, 세무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고소득자가 세금 절약하는 방법은?
    • 소득 분산, 세금 효율적 투자, 연금 상품(리스터 연금 등), 가족 공제, 부동산 투자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세무 상황은 세무사와 상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7. 세무서는 얼마나 꼼꼼히 확인하나요?
    • 보통은 표본조사로 확인하지만, 의심스럽거나 과도한 지출 항목이 의심스러운 경우는 별도로 증빙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영수증과 증빙 서류를 반드시 보관하고, 정직한 신고가 중요합니다.

 

 

 

 

 

 

작성: Yun

ⓒ 구텐탁코리아(http://www.gutentag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기사로 작성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메일로 문의주세요 (문의 메일: info@gutentagkorea.com)

 

댓글 0 보기
목록보기
구피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