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보고서
독일 거주 한국인을 위한 최신 생활 정보 심층 분석(7월 11일)
BY gupp2025-07-11 10:22:06
정기적으로 독일 거주 한국인을 위한 최신 생활 정보를 분석한 기사를 발행합니다.관련 링크도 함께 제공하니 추가 내용을 위해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 이민·비자 제도 2024년 6월 27일, 독일 연방의회는 국적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독일 시민권 취득 요건을 완화했습니다. 2024년 6월 26일부터 외국인은 독일에서 5년 거주 후 귀화 신청이 가능하며, 특별한 통합 사례에서는 3년 만에 신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최소 8년 거주가 필요했지만, 모든 귀화자에게 이중국적도 허용되어 기존 국적을 포기하지 않아도 됩니다.
2.세금·보험 2025년부터 법정 건강보험료율이 0.8%p 인상되어 총 부담률이 17.1%로 올라갈 예정입니다. 이는 직장인과 고용주의 보험료 부담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재정 적자 보전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3. 주거 2024년 독일 주택 임대료는 전국 평균 약 4% 상승했으며, 대도시를 중심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베를린 등 주요 도시는 빈집 비율이 1% 수준으로 매우 낮아 시장 긴축 상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4. 건강보험 및 의료 서비스 2024년 1월 1일부터 전자 처방전(E-Rezept) 제도가 전면 시행되면서, 모든 처방약은 전자 방식으로 발급되고 있습니다. 환자는 의료보험 카드나 모바일 앱으로 처방전을 관리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5. 교육 독일 전역에서 교사 부족이 심각해져 일부 지역에서는 성적을 매길 수 없는 수업 공백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튀링겐주는 2024/25학년도에 수십만 건의 성적 미산출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6. 에너지 요금 2024년 상반기 가정용 천연가스 요금은 직전 반기 대비 4% 상승했고, 전기 요금은 2021년 대비 25%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탄소세 인상과 배전망 이용료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부담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7. 사회복지 혜택 2024년 1월부터 실업·저소득층 생계보장수당(Bürgergeld)이 월 502유로에서 563유로로 인상되었습니다. 반면 부모휴직수당(Elterngeld)의 소득 기준 상한이 20만 유로로 낮아져 고소득 가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예정입니다.
8. 생활비 변화 2025년 5월 기준 독일 물가상승률은 2.1%로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전기·가스·식료품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식당 음식의 부가세는 2024년부터 다시 19%로 환원되어 외식 비용이 상승했지만, 2026년부터는 다시 인하될 가능성이 열려 있습니다.
#독일물가#독일정보#독일뉴스#독일최신뉴스#독일최신변경사항#독일최신정보#독일의료#독일건강보험#독일에너지#독일교육#독일연금#독일사회복지
|
|